2024년 자연환경해설사 비대면 보수교육 안내드립니다.
□ 배경 및 목적
○ 환경부 고시 제2022-171호,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기관 지정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정 제 10조(보수교육)에 의거 보수교육 시행
○ 자연환경해설사의 전문성 지속을 위해 3년마다 보수교육 이수 필수
① 자연환경해설사 교육과정을 수료한 자는 자연환경해설의 전문성을 지속하기 위해 3년마다 보수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. |
□ 교육대상
○ 자연환경해설사 수료 후 3년이 경과한 인원(2012~2021년) 중 보수교육을 수료하지 않은 인원
- 보수교육을 수료하였더라도 3년이 경과한 인원은 보수교육 대상자
※ 「자연환경해설사 양성기관 지정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정」(환경부고시 제2022-171호)
□ 교육기간
○ 2024.05.13.(월) 10:00 ~ 10.31.(목) 23:59
- 교육 기간 내 모든 관련 서류를 최종 제출한 경우에만 수료로 인정
□ 교육과정
교육분야 | 교육과목 | 시간 | 교육내용 | 강사(소속, 직책) |
해설 안내 | 자연환경해설사의 역할 | 2 | 청중을 변화시키는 해설 | 이진형 목포대학교 교수 |
해설프로그램 기획·평가 | 3 | 비대면 해설프로그램 기획 | 정세빈 국립공원공단 계장 | |
대면 해설프로그램 기획 | 이지영 곶자왈 부대표 | |||
스토리텔링 | 3 | 스토리텔링 기법과 사진 및 영상 촬영법 | 이소윤 스토리윤 대표 | |
자연환경의 이해 | 해설프로그램 참여 | 4 | 자연환경해설 프로그램 참여 | 해설프로그램 참가 및 보고서 제출 |
해설프로그램 평가 | 2 | 자연환경해설 프로그램 평가 | ||
인문 사회 환경의 이해 |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| 2 | 기후변화 시대의 생물 다양성의 의미 | 오충현 동국대학교 교수 |
커뮤니케이션 | 커뮤니케이션 | 3 | 해설 집중도 향상 방법(주의집중, 흥미유발 방안 등)과 해설 기법 | 김정원 인클라우드에듀 대표 |
교수매체 활용 | 2 |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교구 제작 방법 및 활용 : 제작 및 활용 사례 중심 | 우명원 (사)자연의벗연구소 공동대표 | |
정세빈 국립공원공단 계장 | ||||
2023년 자연환경해설사 교구재 대회 참가팀 | ||||
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| 3 | 현장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| 석태정 한국구명구급협회 실장 | |
총계 | 9과목(24시간) | 24 | | |
※ 보수교육 과정은 온라인 강의 수강(18시간)과 현장실습교육(6시간)으로 이루어짐
※ 보수교육 수료는 80% 이상 수강 시 가능
※ 온라인 강의 종료 후, 온라인 보수교육 설문조사까지 참여 필수